본문 바로가기
공부/WEB개발 과제

[1주차-1] APM 세팅하기1

by TILDA_16 2023. 3. 31.

리눅스를 많이 활용하는 분야 중에 하나는 웹서버이다.

 

APM = Apache 웹 서버 + 프로그래밍 언어 PHP + 데이터베이스 MySQL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는 LAMP라고 부르기도 한다.

 

위의 3가지가 서로 잘 연동되어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APM이라고 부른다.

 

나는 VMware를 사용해서 환경을 만들 것이다.

 

1. 우분투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iso파일 다운로드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Download Ubuntu Desktop | Download | Ubuntu

Ubuntu is an open source software operating system that runs from the desktop, to the cloud, to all your internet connected things.

ubuntu.com

 

2. VMware에 우분투 설치

VMware에 우분투 설치 화면

 

3. 우분투 패키지 업데이트

터미널 실행 후 밑의 코드를 실행시킨다.

sudo apt update   //패키지 정보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한다.

sudo apt upgrade    //업데이트된 패키지 정보를 바탕으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해준다.

 

4. APM 설치

루트로 계정을 변경한 뒤에 밑의 코드를 실행시킨다.

apt -y install lamp-server^

APM에 관련된 것들은 전부 여기에 다 들어있다.

패키지가 많아서 설치시간이 조금 걸린다.

 

5.apache 상태 확인 및 DB 상태 확인

패키지가 설치된 후 아래의 코드를 실행시켜 웹서버가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systemctl restart apache2    //apache 웹서버 재시작

systemctl enable apache2    //apache 웹서버 활성화

systemctl status apache2    //apache 웹서버 동작확인 밑의 사진 참조

active(running)이 나오면 Apache 웹서버는 정상적으로 설치된거다. :q를 쳐서 빠져나오자

웹서버는 잘 동작하고 있고 이번엔 MySQL을 확인해 보자

systemctl restart mysql    //mysql 재시작

systemctl enable mysql    //mysql 활성화

systemctl status mysql    //mysql 동작 확인 밑의 사진 참조

active(running)이 나오면 mysql은 정상적으로 설치된거다. :q를 쳐서 빠져나오자

 

6.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정상적으로 설치가 됐으면 VMware에서 웹 브라우저를 켜서 주소창에 localhost라고 치면 이러한 페이지가 나오게 된다.

위의 화면이 나오면 된거다.(주소는 localhost로 접속한것이다.)

 

7. php 연동하기

웹서버와 DB는 설치했으니까 php를 연동할 순서이다.

웹서버의 홈 디렉터리는 var/www/html이다.

localhost로 접속하면 위의 폴더에 있는 index.html이 실행돼서 6번의 페이지가 보이는 거다.

홈디렉터리에 phpinfo.php 파일을 하나 만든다.(gedit, vi 등 아무거나 사용하자)

간단한 php 코드 작성

저장을 하고 localhost/phoinfo.php로 접속을 한다.

위 화면이 나오면 php가 연동된거다.

 

8. 외부 접속 확인

APM환경이 구축되었으니까 외부에서 접속이 되는지 확인을 해봐야 한다.

ufw enable    // 방화벽 활성화 

ufw allow 80    // 80번 포트(http) 허용

ufw status    // 방화벽 상태 확인

80번 포트 허용

방화벽을 열고 host에서 접속을 하면 저런 식으로 접속이 된다.

 

내부에 있는 호스트는 접속이 가능하므로 이제 포트포워딩과 아이피 주소를 설정해서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