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정보보안기사필기정리

16. 서버 보안 관리

by TILDA_16 2023. 4. 26.

서버관리자 업무

    지속적으로 보안 유지 관리를 해야 함

    root로 직접 로그인하는 것은 막고 su 명령어로 변경하기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

    시스템 자원 관리

    네트워크 관리

 

로그 관리

    로그는 안 볼 거면 모으지 말기

    윈도우는 중앙 집중화된 로그 수집

    유닉스는 로그를 산발적으로 저장

    윈도우 시스템 이벤트 로그

        바이너리 형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열어야 한다.

        이벤트 아이디

            각 로그별로 고유한 번호를 부여 번호를 알고 있으면 빠르고 효과적인 분석 가능

        응용 프로그램 로그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한 다양한 이벤트 저장, AppEvent.Evn

        보안 로그

            로그인 시도 및 파일 생성, 열람, 삭제 등 저장, SecEvent.Evn

        시스템 로그

            시스템 구성요소가 기록하는 이벤트, SysEvent.Evn

    감사정책

        어떤 로그를 남길지를 정의한 규칙

        개체 액세스 감사

            접근을 시도하거나 속성 변경 등을 탐지

        계정 로그인 이벤트 감사

            도메인 계정의 사용으로 생성

            계정의 로그인에 대한 사항을 로그로 남김

        로그인 이벤트 감사

            로컬 계정의 사용으로 생성

           계정 로그인 이벤트 감사에 비해서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로그 정책 설정

        윈도우에서는 로그 정책이 대부분 정보를 로깅하지 않게 기본으로 설정

        따라서 적절한 로깅 설정이 필요함

    유닉스/리눅스의 로그 분석과 설정

        utmp(x)

            user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상태

        wtmp(x)

            who

            로그인, 로그아웃, 시스템 재부팅 정보

        btmp(x)

            bad

            로그인 실패 정보를 기록

        sulog

            권한 변경에 대한 로그

        acct/pacct 로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

        .sh_history or .bash_history

            실행한 명령에 대한 기록

            각 계정의 홈 디렉터리에 저장

        loginlog

            리눅스

                실패한 모든 로그를 남김

            유닉스

                5회 이상 실패 시 실패한 로그를 남김

        xferlog

            ftp 로그 파일

            proftpd, vsftpd데몬들의 서비스 내역을 기록하는 파일

        dmesg

            부팅될 때 출력되는 모든 메시지를 기록

        cron

            정기적인 작업에 대한 로그

    유닉스/리눅스 시스템 로그 설정

        syslog를 통해 로그를 생성하고 관리함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어떤 로그를 어디에 남길지 결정

        priority(메시지 우선순위)

            emergency, alert, critical, error, warning, notice, information, debug

    로그 모니터링 및 순환

        로그를 계속 모니터링하려면 tail -f /var/log/message 명령을 이용

        logrotate는 시스템 로그파일에 대하여 로테이트, 압축, 또는 메일을 발송해 주는 리눅스 시스템 로그파일 관리기이다.

    lls 웹 서버 로그

        w3c 확장 로그파일 형식

    Apache 웹 서버 로그

        httpd.conf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개 해킹 도구

    크래킹 S/W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시스템에 침입하는 행위

        id, pw를 대입하여 맞는지, 틀리는지를 지속적으로 수행

        john the ripper, pwdump, L0phtCrack

    키로그 S/W

        키보드로 입력한 정보를 로그로 남기는 프로그램

 

서버보안용 S/W 설치 및 운영

    취약점 분석 도구

        SATAN, SARA, SAINT, COPS, Nessus, nmap

    무결성 점검 도구

        tripwire

    스캔 탐지 도구

        mscan, sscan, portsentry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침입탐지 도구

        snort

    방화벽

        TCP-Wrapper, IPchain/IPtable

'공부 > 정보보안기사필기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최신 보안 주제  (0) 2023.04.30
17. 시스템 보안위협 및 대응책  (0) 2023.04.27
15-2. 리눅스 서버 보안  (0) 2023.04.22
15-1. 유닉스 서버 보안  (1) 2023.04.20
14. 윈도우 서버 보안  (0)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