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계층
응용,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에서의 통신은 논리적
물리 계층 통신은 물리적
데이터링크 계층
오류제어, 흐름제어
네트워크 계층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것
포워딩
패킷이 도착했을 때 라우터가 취하는 행동
IPv4 주소
클래스 A
첫 번째 비트가 0인 IP주소
클래스 B
처음 두 비트의 값이 10인 IP주소
클래스 C
처음 세 비트의 값이 110인 IP주소
클래스 D
처음 네 비트의 값이 1110인 IP주소
클래스 E
처음 네 비트의 값이 1111인 IP주소
주소 고갈을 완화하기 위해 서브네팅과 슈퍼네팅이라는 기술을 사용함
하지만 해결하지 못해서 클래스 권한이 제거되었다.
CIDR표기법을 이용 192.168.0.1/24
디스-호스트 주소
0.0.0.0/32
제한된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32
루프백 주소
127.0.0.8/8
사설주소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IP)
비신뢰적이고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신뢰성이 중요하다면 신뢰성 있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논리주소와 물리주소의 변환
ARP
IP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주소를 얻고자 할 때 사용
RARP
물리주소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얻고자 할 때 사용
ICMP
오류보고 메시지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아닌 보고(오류수정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
목적지 도달 불가(Type 3)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려줌
근원지 억제(Type 4)
데이터그램이 폐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재지정 메시지(Type 5)
더 적합한 경로가 있다고 호스트에게 라우터가 보내는 메시지
질의 메시지
Echo Request
원하는 호스트로의 IP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단한 문제 해결 메시지
Echo Reply
Echo Request에 대한 응답 메시지
IPv6
많이 늘어난 IP주소, 보안문제, 라우팅 효율성 문제, QoS 보장, 무선 인터넷 지원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차세대 인터넷 구현의 핵심적인 요소
확장된 주소 공간
128비트의 주소체계
유니캐스트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패킷을 보내는 방식
애니캐스트
하나의 송신자가 가장 가까이 있는 애니캐스트 그룹의 구성원에게만 전송하는 방식
멀티캐스트
하나의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에게 패킷을 보내는 방식
새로운 해더 포맷
해더의 길이를 고정으로 변경
패킷 단편화 관련 필드 삭제
체크섬 필드 삭제
향상된 서비스의 지원
플로우 레이블 필드를 이용
보안기능
인증 절차, 데이터 무결성 보호, 메시지 발신지 확인기능을 제공
IPv4에서 IPv6으로 변환
이중스택, 터널링, 헤더 변환
전송계층
UDP
비연결형이고 신뢰성이 없는 전송 프로토콜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비연결형 서비스,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 다중화와 역다중화
TCP
연결형아고 신뢰성이 있는 전송 프로토콜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스트임 전송 서비스, 송신 및 수신 버퍼, 전이중 통신, 다중화와 역다중화, 연결 지향 서비스, 신뢰성 있는 서비스
세그먼트
TCP에서 패킷을 세그먼트라고 한다.
6개의 다른 제어 비트가 있다
URG
긴급
ACK
승인
PSH
밀어 넣기
RST
초기화
SYN
동기화
FIN
종료
TCP 연결
연결 설정(three-way handshaking)
SYN
SYN+ACK
ACK
연결이 설정된 후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발생
연결 종료
three-way handshaking
FIN
FIN+ACK
ACK
four-way handshaking
FIN ->
ACK <-
FIN <-
ACK ->
동시 종료
동시에 FIN 전송
동시에 ACK 전송
강제 종료
RST
응용 계층
HTTP, FTP, TELNET, DNS
'공부 > 정보보안기사필기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네트워크 장비의 이해 (1) | 2023.05.08 |
---|---|
21. 라우팅 (0) | 2023.05.04 |
19. 네트워크 개요 (0) | 2023.05.01 |
18. 최신 보안 주제 (0) | 2023.04.30 |
17. 시스템 보안위협 및 대응책 (0) | 2023.04.27 |